缶林洪氏의上系는 남양홍씨와 같이 홍씨의 源流인 학사공 휘 천하를 同祖로 하고있다. 홍씨의 원류에서 기록하였듯이 학사공 휘 천하는 고구려 영류왕 때 중국에서 8학사의 한분으로 歸化하여 고구려와 통일신라 국왕으로부터 덕예 와 문학 교화에 대한 功으로 지극한 환대를 받으며 당성백(唐城伯)에 封하여 지셨고 다시 당성후(唐城候)에 가작(加爵)이 되셨다. 그후 학사공은 당성(남양)(지금의 경기도 화성군 일대)에 정착하였으며 부림홍씨 남양홍씨 회인홍씨 등 여러 洪門派의 元祖로 모셔지고 있다.
부림홍씨는 당나라 때 중국에서 건너온 당홍계열로 남양홍씨와 같은 뿌리였으나 고려조에 이르러 재상공 휘 난(鸞)이 재상벼슬을 역임한 후 부림현으로 이거하여 정착함으로서 후손들은 이를 관향으로 쓰기 시작하였다. 고구려 말에서 통일신라, 고려시대에는 각종 외침과 부족들간이 빈번한 싸움으로 많은 기록들이 소실되고 재대로 전해오지 않아서 어느 가문 족보 역시 자세한 기록을 하지 못하고 있으며 다행히 소실되지 않고 전해지는 碑文이나 詩集, 實記, 등을 참고하는 경우가 많다. 그리하여 학사공부터 휘 鸞 까지의 上系도 확인할 길이 없는지라 학사공 휘 天河는 원조로 모시고 재상공 휘 난(鸞)을 시조로 기록하고 있다.
부림홍씨는 洪鸞 이후에도 歷代가 실전되어 고려 중엽 직장을 지낸 휘 좌(佐)를 1世祖로 하여 系譜하고 있다. 2세는 중랑장을 지낸 양제(楊濟)이고, 3세는 충숙공 우(祐)이며, 4세는 좌복야를 지낸 (서)敍이다. 서는 인단(仁袒)과 인석(仁裼)두 아들을 두었는데, 둘째 아들인 예빈경을 지낸 5世祖 인석은 함창땅으로 옮겨와 代代로 살면서 그 후손들은 함창파(咸昌派)라 불리기도 한다. 그 시기는 고려말엽인 1300년 전 쯤으로 추정된다.
缶林은 오늘날 경북 군위군 부계면 한밤마을 일대이며 삼국시대 때는 영남지방의 縣名이였는데 그 지명을 따서 관향을 삼은 것이다. 그후 고려초에 부림현이 부계로 바뀌어 현재까지 부계면으로 부르고 있다. 따라서 족보에 관련된 모든 기록들은 缶林으로 통용되고 있으나 가끔씩 부계홍씨라는 기록도 있는데 결국 같은 지명아래 같은 氏族인 것이다.
缶林은 上古 때에는 지명이 노동멱 또는 여두멱으로 불렀다고 한다. 그후 신라 경덕왕 16년(서기750년경)에 缶林縣으로 되었으며 高麗 현종9년(서기1018년)에 缶溪懸로 바뀌었다. 조선시대에는 의흥현에 속하였으나 1914년 행정구역 개편으로 군위군 부계면 대율리가 되었으며 한밤이란 순수한 우리말 지명으로 더 잘 알려저 있다.
한밤 하면 큰밤과 관련된 지명 같지만 실제는 밤과 관련이 없고 口傳에 의하면 서기 950년경 부림현의 제법 큰 마을이였던 이곳은 부림홍씨 시조 洪鸞 선비가 이주해 오면서 大野(넓은들), 大夜(한밤) 으로 불렀으며 1390년경 洪魯라는 선비가 夜(밤야)자가 좋지 않다 하여 대율로 고쳐 불려진후 지금까지 이어지고 있다. 大栗과 大夜의 우리말은 모두 큰밤, 한밤으로 일맥 상통한다.
홈페이지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자동수집되는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시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Copyright 2015 부림홍씨 대종회 AllRights reserved Contact to Webmaster